4차 산업혁명시대에서 공공부문의 빅데이터 활용사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igdata Application Case of Public Sector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공공부문에서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사례를 분석하여 성공 요인을 도출하고, 공공부문에서 빅데이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정책 방안을 제시합니다. 빅데이터는 행정, 교통, 복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방대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연구 결과, 빅데이터 전담 조직 신설 및 운영, 빅데이터 관련 조례 제개정, 빅데이터 전문 인력 확보, 빅데이터 전문 기관과의 협력 등이 성공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이를 통해 복잡한 사회 문제를 해결하고, 데이터 기반의 정책을 추진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합니다.
정책개발연구, 제21권 제1호 / 강정묵
<요 약> 현재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정부, 지자체 등 공공부문에서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빅데이터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책을 추진할 수 있기 때문에 공공부문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부문의 빅데이터 활용사례를 분석하여 성공요인을 도출하고 공공부문에서 빅데이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정책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빅데이터 전담조직 신설 및 운영, 빅데이터 관련 조례 제개 정, 빅데이터 전문인력 확보, 빅데이터 전문기관과의 협력 등이 성공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도출된 성공요인을 기반으로 빅데이터 활용정책을 추진할 경우, 복잡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새로운 가치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정책적 시사점은 빅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한 기본적인 환경을 조성해야 하고 빅데이터를 지속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협력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Multilingual Abstract) Currently, the interest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such as big data, IoT,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s increasing. Recently, the public sector like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is making efforts to utilize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Especially, in case of big data, the policies could be carried out based on data, so it could be usefully utilized in the public sector. Thu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raw the factors of success by analyzing the cases of utilizing big data in the public sector, and also to present the policy measures for actively utilizing big data in the public sector.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establishment/operation of organization in charge of big data, enactment/revision of ordinances related to big data, securement of manpower specialized in big data, and cooperation with big data institutions were drawn as the factors of success. In case when carrying out the big data utilization policies based on the drawn factors of success, it would be helpful for solving such complex social problems, and also draw new values by utilizing big data in various areas. As the policy-level implications of this study, it would be necessary to build the basic environment for utilizing big data, and also to establish the cooperation system for the continuous utilization of big data. |
본론
1.배경
코로나19로 인해 경제적 침체와 사회적 불안이 증가
제주도는 관광산업의 큰 타격을 입고, 코로나19 확진자의 이동 경로를 추적할 과학적 시스템이 필요해짐
2.활용
빅데이터 전담 조직 신설 및 빅데이터 관련 조례 제정.
빅데이터 센터를 개소하고, 데이터 기반 정책을 정착시키기 위한 통합 플랫폼 운영.
다양한 기관과 협력하여 방대한 데이터를 확보하고 분석.
3.빅데이터 분석
통신사, 금융사 등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유동 인구, 소비 동향, 이동 경로 등을 분석.
신용카드 결제 이력, 버스 승하차 이력 등을 통해 관광객의 이동 빈도 파악.
주요 특징과 장점
- 효율적인 데이터 기반 정책 수립 : 빅데이터를 통해 정책 수립 과정의 투명성과 정확성을 높임.
-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용 가능성 : 행정, 교통, 복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사회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음.
현업에 적용할 수 있는 활용방안
공공 서비스 개선
교통 데이터 분석을 통해 교통 혼잡 구역을 파악하고 교통 체계 개선
복지 데이터 분석을 통해 취약 계층을 위한 맞춤형 지원 정책 수립
정책 결정 지원
빅데이터를 통해 실시간으로 정책 효과를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경우 즉각적으로 수정
유동 인구 데이터를 활용하여 방역 정책을 효율적으로 운영
결론과 시사점
빅데이터 활용의 중요성
빅데이터는 공공부문에서 복잡한 사회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함
시사점
빅데이터 전담 조직의 세분화, 빅데이터 관련 법규정 개선, 전문 인력 확보, 협력 체계 구축이 필요
이를 통해 공공부문에서 빅데이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함
'DO 리서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만적 데이터 시각화 사례 연구 (0) | 2024.06.28 |
---|---|
개인화 데이터의 예술적 시각화에 있어서의 표현적 특성 (0) | 2024.06.15 |
공간 아이덴티티를 반영한 공간 디자인 시각화를 위한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 접근 방법 (0) | 2024.06.10 |
데이터 시각화의 다양성 연구 - 예술 작품에 드러난 데이터 시각화 (0) | 2024.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