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시각화의 다양성 연구 - 예술 작품에 드러난 데이터 시각화
Study on Diversity of Data Visualization - Artworks Analysis by The State-of-the-art in Data Visualization
"데이터 시각화의 다양성 연구 - 예술 작품에 드러난 데이터 시각화"는 데이터 시각화의 다양한 양식을 분석하고, 예술 작품에서 나타나는 데이터 시각화의 사례를 탐구합니다. 데이터 시각화는 복잡한 데이터를 직관적으로 이해하도록 돕는 도구로, 디자인 역사에서 발전해 왔습니다. 하지만 정보 데이터를 예술적으로 해석하고 표현하기 시작한 것은 최근의 일입니다. 이 연구는 정보 제공과 예술적 표현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데이터 시각화를 분석하고, 일기 예보, 선거 방송, 소셜 네트워크, 비디오 예술, 공공 예술, 인터랙티브 예술의 사례를 통해 다양한 시각화 양식을 고찰하고 있습니다.
"Study on the Diversity of Data Visualization - Data Visualization Revealed in Works of Art" analyzes different patterns of data visualization and explores examples of data visualization in works of art. Data visualization has evolved in the history of design as a tool that helps us intuitively understand complex data. However, it is only recently that we have begun to interpret and express information data artistically. The study analyzes data visualization in two aspects: information provision and artistic representation, and examines different visualization patterns through examples of weather forecasting, election broadcasting, social networks, video art, public art, and interactive art.
(본문 요약) 우리는 세상에 존재하는 정보들을 수치화하여 데이터를 얻는다. 그리고 이 데이터를 한 눈에 알아 볼 수 있게 그래프나 도식으로 재편성한다. 이것이 데이터 시각화이다. 데이터 시각화 연구는 디자인 영역에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시작해 왔다. 그렇지만 디자인 영역을 넘어 정보데이터를 예술적으로 해석하고 표현하기 시작한 것은 오래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양식으로 변화하고 있는 정보 데이터의 시각화 및 예술로 승화한 데이터의 시각화에 대해 고찰한다. 인간은 감각 중 눈으로 경험하는 것에 대해 확신과 믿음이 있다. 본다는 것은 빛을 이용해 대상의 이미지를 뇌에 저장하는 과정으로, 개인의 경험 그리고 사고방식에 따라 저장 내용 즉, 기억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개인마다 기억의 차이는 있지만 본다는 것의 행위는 객관성을 갖는 감각임은 분명하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가 일상에서 알고 있는 사실을 좀 더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고민하기 위해 다양한 관점의 데이터 시각화 양식을 고찰한다. 객관성이 중요한 정보 데이터를 작가의 관점과 철학으로 재해석되거나 직관적이고 강렬하게 기억에 남을 수 있도록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작업은 데이터 시각화의 다양성을 보여줌과 동시에 더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도 함께 내포하는 것이다. 실제로 데이터 시각화는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컴퓨팅 기술 발달에 따라 그 영역의 경계는 사라지고 있다. 정보 데이터 시각화는 새로운 모습으로 끊임없이 변모하는데 한 예가 SNS(social network system)를 통해 공유하는 앱(application program)의 출현이 그것이다. 기존의 시각 예술의 표현이 연필로 시작해 사고의 확장과 소통의 길을 열었다면, 동시대는 시각 표현의 양식이 기술을 넘어 예술로 승화되기까지 0과 1이라는 수치를 이용한 컴퓨팅 기술로 표현 영역이 넓어지고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시각 표현의 패러다임은 바뀌고 있다. 기술이 예술이 되고 예술이 기술에 의존하는 것은 패러다임의 변화를 꾀할 수 있고 우리는 새로운 시각표현의 세계를 만나게 됨을 의미한다. (Multilingual Abstract) Data is collected through quantification of the information around us. Collected data can be easily understood because we convert this into graphs and diagrams. This is data visualization. Design is just one of the many domains of data visualization and it is one that has existed the longest. However, the field of artistic visual representation, which goes beyond just design, has not existed for very long. This paper is about the more modern artistic approach to data visualization. Out of all the human senses, sight is the one which we put the most confidence in. The difference between sight and analysis is the difference between objectivity and subjectivity and also the difference between data as itself and artistically interpreted data. The reason the field of data visualization continues to expand is because easy comprehension is a unanimous goal. The evolution of technology has dramatically increased the number of ways to visualize data as well as communicate data. Just as artistic visualization began with a pencil sketch, we focus on contemporary art that joins technologies of data visualization with a string of 1"s and 0"s. This is the beginning of the paradigm shift in a visual representation. In this paper, studied the visualization of information data based on technologies will be meaningful. |
서론
배경
- 기록의 역사는 B.C 4000년경 시작되었으며,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음
- 데이터 시각화는 정보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시각적 표현 방식
연구의 범위
- 정보 제공의 시각 표현과 예술로서의 시각 표현으로 한정.
- 그래픽 디자인을 중심으로 다양한 데이터 시각화 기법을 분석.
- 예술 작품으로서의 데이터 시각화와 기술 구현 과정을 함께 논의 .
주요 특징
- 다양한 사례 분석: 일기 예보, 선거 방송, 소셜 네트워크 등 일상적인 데이터 시각화부터 공공, 인터랙티브 예술로 확장.
- 기술과 예술의 융합: 기술적 구현과 예술적 표현의 결합 가능성을 탐구.
- 객관성과 주관성의 조화: 데이터 시각화가 정보 전달과 예술적 표현을 동시에 가능하게 함 .
현업에 적용할 수 있는 활용방안
비즈니스 분석 : 매출 데이터를 시각화 및 성과를 파악하고 전략적 의사결정에 활용
의료 분야 : 환자의 건강 지표를 시각화하여 의료진이 실시간으로 환자 상태를 모니터링
교육 자료 개발 : 역사적 사건이나 과학적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교육 콘텐츠로 활용
결론
데이터 시각화는 기술과 예술의 융합을 통해 정보의 직관적 이해를 돕고, 예술적 표현을 통해 더 강렬하고 직관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함. 이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며, 데이터 시각화의 체계적 연구와 창의적 실행이 더 많은 인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음을 뜻함
'DO 리서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만적 데이터 시각화 사례 연구 (0) | 2024.06.28 |
---|---|
4차 산업혁명시대에서 공공부문의 빅데이터 활용사례에 관한 연구 (1) | 2024.06.21 |
개인화 데이터의 예술적 시각화에 있어서의 표현적 특성 (0) | 2024.06.15 |
공간 아이덴티티를 반영한 공간 디자인 시각화를 위한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 접근 방법 (0) | 2024.06.10 |